position
static : 기본적인 옵션.
relative : 부모태그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임
absolute : 하단 태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. 자신의 content 크기만 차지. 값을 주는 순간 부모의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임
부모의 포지션이 static이 아닐때만 적용됨. 즉, static이면 그 위의 부모를 기준으로 움직이게 됨.
fixed : 하단 태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. 자신의 content 크기만 차지. 항상 최상위 태그를 기준으로 움직임.
스크롤을 무시함
sticky : 스크롤을 무시함
display
예를 들어 div는 블록개념인데, span은 인라인개념이므로 내용이 채워지면 그만큼 확장이 된다. (컨텐츠 자체만을 꾸밈)
하지만 이를 display 옵션을 통해 block, 또는 inline, inline-block으로 변경을 하면 그 속성이 적용된다.
flex
1. 컨테이너에 적용
2. 각각의 아이템에 적용
main axis(축)과 cros axis이 존재 (중심축과 반대축)
div.container>div.item.item${$}*10
100%: 컨테이너의 부모의 높이의 100%를 채우겠다는 뜻
100vh : 보이는 view port를 다 채우겠다.
display: flex
flex-direction : row (기본), column-reverse
flex-wrap : 기본은 none, 크기에 상관없이 한 줄에 꽉채운다.
nowrap : 크기가 변할때 아니면 다음라인으로 넘어가게 된다.
flex-flow : column nowrap (위 속성 한 번에 적용)
justify-content : 어떻게 배치할 것이냐 flex-start (어딜 중심으로해서 배치할 것이냐, 중심축에서 아이템 배치)
space-around, space-evenly/between
align-items: 반대축에서 아이템 배치
: baseline
align-content: 상동
flex-grow : 자신의 고유한 사이즈유지 (기본)
flex-shrink : 줄일때 얼마만큼 줄이게 되는지 (상역)
flex-basis : XX% (위 두 옵션을 퍼센테이지 비율로 처리)
align-self : flex 아이템 중 개별로 처리하고 싶을 때 사용
flex: 1차원
grid: 2차원
display : grid
각각의 요소는 cell로 불림
emmet
관련 문법은 아래 블로그에 상세히 설명됨
(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HTML-%F0%9F%8E%A8-Emmet-%EB%AC%B8%EB%B2%95-%EC%A0%95%EB%A6%AC)
'Personal Posting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R vs SSR (0) | 2023.12.18 |
---|---|
클라우드 컴퓨팅 용어 정리 IaaS, PaaS, SaaS, DaaS (0) | 2023.04.18 |
Ant Design Customize Theme (0) | 2023.04.05 |
github 포트폴리오 제작기 (0) | 2023.04.04 |
RESTful 정리 (0) | 2020.08.13 |